답변
질병 종류에 따른 혈액제제 사용량 상위 10개 질환입니다.
출처 -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답변
지정헌혈이란? 헌혈 후 채혈된 혈액이 지정된 수혈자에게 수혈하는 헌혈을 말합니다. 지정 헌혈자는 수혈자 등록번호를 간호사에게 보여주고, 혈연 여부를 확인 후 채혈이 진행됩니다.
답변
크게 수혈용과 의약품제조용 혈액공급으로 나뉘며, 아래와 같은 절차로 공급됩니다.
수혈용 혈액공급
의약품제조용 혈액공급
출처 -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출처 -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출처 -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답변
1. 간염(B형, C형)
2. 에이즈 (우리나라의 경우 수혈로 감염될 확률 백만분의 1이하)
3. 말라리아
4. 매독
5. CMV(거대세포바이러스)
6. HTLV(사람 T-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핵산증폭검사 도입 이후(2005~) 수혈전파 감염사례는 없으나,
면역이상반응 중 하나인 발열성 비용혈 수혈반응이 주요 국가보다 많은 편입니다.
영국 103건, 일본 335건, 한국 2,101건(’19년 말 기준, 수혈 중 0.05%)
헌혈 전 검사에 아래와 같은 항목이 포함됩니다:
1. ALT(알라닌분해 효소)
2. 총단백
3. B,C형 간염검사
4. 인체T림프영양성 바이러스 검사
5. 매독
6. 말라이라 검사
7. 비예기항체 검사
8. ABO혈액형 아형 검사
검사 결과를 우편물,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웹사이트, '레드커낵트' 어플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대한적십자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답변
현재 사람에게 피를 수혈해줄 동물로 주목받는 건 돼지밖에 없다고 합니다. 돼지의 혈액형 중 하나인 AO형체계는 인간의 ABO형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O형 혈액 다른 혈액형을 가진 사람에게 수혈이 가능하기때문에 O형 돼지에 대한 수혈연구가 진행중입니다.